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집배원의 시대적 변천사
집배원의 변천사
근대우정이 도입된 당시 체전부(遞傳夫)라 불리던 집배원은 보수적인 양반들로부터 천시와 멸시 속에서도 개화기의 기수 역할 수행
이후, 차츰 우편의 편리함을 알게 되면서 많이 이용하게 되었고, 집배원이 소중하다고 해서 「체주사」,「체대감」으로 불리기도 함
배달물량의 역할 변화
갑신정변 후 10여년 만에 우편이 재개되었을 때만 해도 서울 중심에서 접수된 우편물은 보름 동안 1백 37통에 불과하였으나,
현재는 2만2천여 명의 배달인력이 1년에 29억통(약 하루 700통)의 우편물을 배달하고, 연간 총 1억 7,062만km(하루 31.4km)를 이동(지구를 4,257바퀴 도는 거리)
  •      ※ 다만, 손편지가 아닌 각종 고지서를 주로 배달함으로써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음

< 집배원 복장 변천사 >

집배원 복장 변천사 대한제국말기, 1946~1980년, 1990년대, 2010년 이후 이미지
대한제국말기 1946~1980년 1990년대 2010년 이후
대한제국말기 1946~1980년 1990년대 2010년 이후